티스토리 뷰

심리학

인간의 신경심리 연구방법

park오리 2023. 9. 27. 10:00

목차



    반응형

    1970년대 이후 뇌의 구조 및 기제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의학 장비들이 개발되어 이전의 전통적인 방법만으로는 밝힐 수 없었던 현상들이 밝혀짐으로써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현재 인지 신경심리학자들은 컴퓨터 단층 촬영법(CT), 양전자방출 단층 영상기법(PET),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기법(fMRI), 뇌파검사(EEG) 등의 신경 생리적 감지 기법을 사용하여 정상인이나 뇌 손상 환자의 뇌에서 뇌의 혈류, 신진대사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있으며, 개선된 뇌파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제반 심리 현상과 신경계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1) 컴퓨터 뇌 단층촬영술(CT)


    한 번에 1도씩 회전하여, 180도가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X-ray가 조직을 통과할 때 조직마다 흡수되는 정보가 다른 것을 컴퓨터로 계산하여 뇌의 영상을 그려내는 것이다.


    2) 자기공명 술(MRI)


    뇌를 방사선에 노출하지 않고 선명도가 높은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강력한 자기장하에서 인체 각 장기 내에 있는 수소 원자핵의 위치 변화에 따라 방출되는 electromagnetic 에너지를 측정하여 영상화하는 것이다.


    3)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PET)


    중추신경계에 화학물질을 주입하고 방출되는 양자의 대뇌 각 부위별로 측정한 다음 컴퓨터로 영상화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혈액 속의 인체에 해가 없는 방사성 원소를 주입하면 방사성 원소가 혈액 속의 포도당과 결합한다. 뇌 속의 포도당의 작용을 직접 통제하는 방법은 없지만 포도당과 결합하여 있는 방사성 원소의 작용은 탐지가 가능하다.


    4)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기법(fMRI)

    PET와 달리 가장 우수한 공간/시간 해상도를 가진 영상 법으로 자기공명영상법과 그 촬영 원리가 유사하다.


    5) 뇌파검사(EEG)

    뇌파 측정은 뇌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뇌전위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과 특정 사건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인 뇌파 측정은 수면과 의식의 수준 및 유형, 정서적 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고 있고, 이것으로부터 발전된 BEAM은 뇌파의 보다 상세한 양적 분석을 가능하게 해준다.


    6) BEAM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기술이다. 뇌의 활동 패턴을 분석하고, 뇌 기능 및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1. 현대인의 부적절한 습관이 뇌에 미치는 영향은?


    1) 알코올과 인지기능


    알코올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판단력이 흐려져 사소한 일에도 참지 못하고, 혀가 꼬부라져 발음이 잘되지 않고, 말할 때 단어가 생각나지 않고,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비틀거리면서 걷고, 기억이 사라지는 등의 경험을 하게 된다. 소위 '필름이 끊긴다'고 말하는즉슨, 술을 마시고 기억이 사라지는 현상을 블랙아웃이라고 한다. 이는 알코올이 대뇌의 측두엽 해마 부분에 직접 영향을 미쳐 뇌의 정보 입력, 출력과정 중 입력 과정에 이상을 일으킬 때 발생한다.

    과음이 반복되고 취중에 무슨 이야기를 하고 무슨 행동을 했는지 기억할 수 없게 되는 블랙아웃을 경험하면 알코올이 뇌에 손상을 주고 있으니 술을 자제하라는 위험신호이다. 이러한 신호를 무시한 채 음주할 경우 뇌 구조의 위축을 일으키며 '알코올성 치매'로 발전될 수 있다.


    2) 흡연과 지능


    흡연은 호흡기와 폐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 외에 백내장, 급성 골수 백혈병, 자궁암, 신장암. 췌장암 및 위암을 비롯해 신체 내 거의 모든 장기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담배 연기 속에는 각종 유독성 물질과 발암물질로 인해 흡연자와 비흡연자와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건강하지 못하고, 일찍 질병에 걸려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3) 휴대전화와 뇌


    요즘 현대사회에 다양한 도구들이 개발되면서 우리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었는데 그중 하나가 휴대전화다.
    휴대전화의 개발로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전화를 걸고, 문자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런 편리함이 가져온 부작용도 만만치가 않은데, 최근 들어 스마트폰 중독이 많아지고 있다.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뇌에 있는 산소 라디칼을 생성하면 뇌세포에 있는 DNA의 이중나선 구조가 손상이 올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DNA는 세포의 복제와 복구를 담당하고 있는데 이 기능이 손상되면서 돌연변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세포에 돌연변이 발생하면 암이 나타날 수 있고 전자파가 뇌혈관을 뚫을 수 있어서 뇌혈관 장벽이 손상되면 외부의 여러 독소가 뇌에 들어가 뇌를 손상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인간의 신경 심리 연구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번에는 인간의 학습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